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자궁경부암예방주사 접종

by 피스타치오다쿠아즈 2023. 6. 9.
728x90

자궁경부암은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HPV라고 불리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 주요인입니다.

HPV바이러스는 고위험 HPV감염과 관련있는 암은 여성의 경우 자궁경부암, 질암, 외음부암이 대표적이고 남성의 경우 음경암, 항문암 등이 있습니다. 저위험 HPV감염과 관련있는 질병으로는 생식기 사마귀, 재발성 호흡기 유두종 등이 있습니다.

자궁경부암은 전체 암 발생 순위 중 7위, 사망률은 9위로 발병률과 사망률이 꽤 높은 편인데요. 백신으로 예방이 가능한 몇안되는 질병 중 하나입니다.

HPV(사람유두종바이러스)백신 및 접종대상

우리나라에서는 3가지 종류의 백신이 있습니다.

ⓛ가다실(4가) ②서바릭스(2가), ③ 가다실(9가)

 

백신종류 접종연령 접종시기
가다실(4가) 만9~14세 연령 첫 접종시 6~12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만15~26세 이상 첫 접종시 0,2,6개월 간격으로 3회 접종
서바릭스(2가) 만9~14세 연령 첫 접종시 6~12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만15~25세 연령 첫 접종시 0,1,6개월 간격으로 3회 접종
가다실(9가) 만9~14세 첫 접종시 6~12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만15~45세
(남성의 경우 15~26세)
첫 접종시 0,2,6개월 간격으로 3회 접종

*2회 접종으로 종료되는 연령에게 접종을 시작한 경우, 2차 접종이 지연되더라도 처음부터 다시 접종하거나 추가 접종을 할 필요는 없고, 총 2회 접종으로 완료됩니다.

*가다실(9가)는 남녀 모두 접종 가능한 백신입니다.

 

자궁경부암 백신의 안전성

우리나라에서는 예방접종을 받은 청소년들 중 중증 이상반응이 발생한 사례는 한건도 없고, 설문조사에서도 접종한 학생과 학부모 모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습니다. 

전세계 65개국에서도 자궁경부암 백신을 도입하고 있으며 백신부작용에 대한 루머는 백신접종과 연관성이 없다고 세계보건기구와 미국질병통제센터에서 입장을 밝혔습니다.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는 접종부위의 통증, 부어오름, 발적, 두드러기, 발열, 메스꺼움, 근육통의 이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 가볍게 증상이 나타나고 수일 내 회복됩니다.

 

예방접종 전 후 주의사항!

이전에 예방접종 주사를 맞으면서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가 있었던 경험이 있다면 접종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알레르기 반응 경험이 있었다면 반드시 의사선생님과 상담을 진행하시기를 바랍니다.

 

예방접종비 지원이 가능한가요?

가다실(9가)의 경우 국가예방접종지원 백신이 아니므로 예방접종비 지원을 받으실 수 없습니다.

하지만, 가다실(4가)와 서바릭스(2가)는 아래의 조건에 해당한다면 예방접종비 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국가예방접종 지원 대상

-만 12~17세 여성 청소년

-만 18~26세 저소득층 여성(자격확인 서류가 있어야합니다)

 

 

 

자료출처 :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댓글